ETC

[ETC] 서블릿과 JSP

기록하는_사람 2022. 11. 5. 13:07

서블릿

📌 서블릿

: 자바 기반 웹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만들어진 기술.

  실행하기 위해서 서블릿 컨테이너가 필요함.

  자바 중심으로 데이터 처리.   자바에서 HTML 코드 사용. 

 

JSP

📌 JSP(Java Server Page)

: 서블릿에서 HTML과 데이터 결합을 쉽게 하기 위해 만들어짐. 

  HTML 중심으로 데이터 처리. → HTML에서 자바 코드 사용.

  컨테이너에 의해 서블릿 형태의 자바 코드로 변환 후, 컴파일 되어 컨테이너에 적재되는 구조.

 

📌 단점

: 반복 출력 또는 조건 체크하는 경우, HTML 문법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자바 코드를 사용해야 함.

  따라서, 코드가 복잡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지게 됨.

 

JSTL과 EL

📌 JSTL(JSP Standard Tag Library)과  EL(Expression Language)

: JSP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도입된 커스텀 태그.

 

📌 단점

: 화면 구조를 서버에서 빌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든 실행이 서블릿 컨테이너를 통해야 함. 

  따라서, 디자인 변경을 할 때도 서버를 통해 확인해야 함.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Vue.js

📌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타임리프 사용하는 경우,

: JSTL 대신 HTML 태그에 data-*- 속성 사용.

  서버 없이도 디자인 확인 가능.

 

📌 Vue.js 이용해 프런트엔드 개발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 사용하는 경우, 

: v-*- 속성 사용,

  자바 스크립트로 동작하는 Vue.js에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