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

[ETC] 배포 프로세스와 데브옵스

by 기록하는_사람 2022. 11. 1.

배포 프로세스

📌 배포(Deployment) == 배치

: 개발된 결과물을 실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작업.

 

📌 웹의 배포

: 운영 서버로 소스 코드를 복사하고, WAS에 등록하는 과정.

 

📌 모바일 앱의 배포

: 앱 스토어에 앱을 업로드 하는 절차 등.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

📌 이클립스에서 JSP 또는 서블릿 실행

→ 현재 프로젝트 구조를 WAR 형태로 패키징한 후 아파치 톰캣에 전달해 실행.

    효율성을 위해 매번 실제 WAR를 생성하지 않고, 이클립스에서 내부적으로 톰캣과 연동하는 과정 거침.

 

📌 완성된 프로젝트를 운영 서버에 설치

→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를 .war 파일로 패키징한 다음 서버에 옮기는 과정 필요. 

    서버에 파일 복사한 후, 톰캣이 설치된 디렉터리의 [webapps] 폴더로 .war 파일을 옮기고, 자동으로 압축 풀어 사용. 

 

💡 톰캣

: .war 파일 원격으로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한 웹 기반의 관리자 콘솔 기능을 제공.

 

💡 톰캣 관리자 콘솔

: 웹 기반의 UI, 빌드 도구에서 원격으로 직접 배포하는 방법 제공. 

 

데브옵스

📌 데브옵스(DevOps)

: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의 합성어. 

  개발 팀과 운영 팀이 병합되어 개발, 테스트, 배포, 운영에 이르는 애플리케이션 생명주기를 개발한 것. 

 

📌 장점

① 빠른 속도

② 빠른 배포

③ 안정성

④ 확장 가능성

⑤ 협업 강화

 

📌 데브옵스의 구현

① SCM(Source Code Management)

: 팀 단위의 소스코드 버전 관리, 깃, SVN 등의 도구 사용.

② CI(Continuous Integration)

: 빌드와 테스트의 통합, Jenkins, Travis CI 등의 도구 사용.

③ CD(Continuous Deploy)

: 지속적인 배포, 원하는 시점에 바로 배포가 가능한 설정 필요.

④ CM(Confinguration Management)

: 서비스 설정의 통합 관리, 운영 서버 OS, 라이브러리 버전, 컴파일 등을 포함.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C] HTML  (0) 2022.11.02
[ETC] GET 메서드와 POST 메서드  (0) 2022.11.01
[ETC] 웹  (0) 2022.10.31
[ETC] Java  (0) 2022.10.12
[ETC] Python  (1) 2022.09.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