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78

[Python/알고리즘] 랜선 자르기(결정 알고리즘) 문제 엘리트 학원은 자체적으로 K개의 랜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K개의 랜선은 길이가 제각각이다. 선생님은 랜선을 모두 N개의 같은 길이의 랜선으로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K개의 랜선을 잘라서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300cm 짜리 랜선에서 140cm 짜리 랜선을 두 개 잘라내면 20cm 은 버려야 한다. (이미 자른 랜선은 붙일 수 없다.) 편의를 위해 랜선을 자를때 손실되는 길이는 없다고 가정하며, 기존의 K개의 랜선으로 N개의 랜선을 만들 수 없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자를 때는 항상 센티미터 단위로 정수 길이만큼 자른다고 가정하자. N개보다 많이 만드는 것도 N개를 만드는 것에 포함된다. 이때 만들 수 있는 최대 랜선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엘리트학.. 2022. 10. 31.
[Python/알고리즘] 이분 검색 문제 임의의 N개의 숫자가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N개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다음 N개의 수 중 한 개의 수인 M이 주어지면 이분검색으로 M이 정렬된 상태에서 몇 번째에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단 중복값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입력 첫 줄에 한 줄에 자연수 N(3 2022. 10. 31.
[Python/알고리즘] 격자판 회문수 문제 1부터 9까지의 자연수로 채워진 7*7 격자판이 주어지면 격자판 위에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길이 5자리 회문수가 몇 개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회문수란 121과 같이 앞에서부터 읽으나 뒤에서부터 읽으나 같은 수를 말합니다. 2 4 1 5 3 2 6 3 5 1 8 7 1 7 8 3 2 7 1 3 8 6 1 2 3 2 1 1 1 3 1 3 5 3 2 1 1 2 5 6 5 2 1 2 2 2 2 1 5 빨간색처럼 구부러진 경우(87178)는 회문수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입력 1부터 9까지의 자연수로 채워진 7*7격자판이 주어집니다. 2 4 1 5 3 2 6 3 5 1 8 7 1 7 8 3 2 7 1 3 8 6 1 2 3 2 1 1 1 3 1 3 5 3 2 1 1 2 5 6 5 2 1 .. 2022. 10. 27.
[Python/알고리즘] 스도쿠 검사 문제 스도쿠는 매우 간단한 숫자 퍼즐이다. 9×9 크기의 보드가 있을 때, 각 행과 각 열, 그리고 9 개의 3×3 크기의 보드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중복 없이 나타나도록 보드를 채우면 된다. 예를 들어 다음을 보자. 1 4 3 6 2 8 5 7 9 5 7 2 1 3 9 4 6 8 9 8 6 7 5 4 2 3 1 3 9 1 5 4 2 7 8 6 4 6 8 9 1 7 3 5 2 7 2 5 8 6 3 9 1 4 2 3 7 4 8 1 6 9 5 6 1 9 2 7 5 8 4 3 8 5 4 3 9 6 1 2 7 위 그림은 스도쿠를 정확하게 푼 경우이다. 각 행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중복 없이 나오고, 각 열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중복 없이 나오고, 각 3×3짜리 사각형(9개이며, 위에서 색 깔로 표시되.. 2022. 10. 27.
[Python/알고리즘] 봉우리 문제 지도 정보가 N*N 격자판에 주어집니다. 각 격자에는 그 지역의 높이가 쓰여있습니다. 각 격자 판의 숫자 중 자신의 상하좌우 숫자보다 큰 숫자는 봉우리 지역입니다. 봉우리 지역이 몇 개 있는 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격자의 가장자리는 0으로 초기화 되었다고 가정한다. 만약 N=5 이고, 격자판의 숫자가 다음과 같다면 봉우리의 개수는 10개입니다. 0 0 0 0 0 0 0 0 5 3 7 2 3 0 0 3 7 1 6 1 0 0 7 2 5 3 4 0 0 4 3 6 4 1 0 0 8 7 3 5 2 0 0 0 0 0 0 0 0 입력 첫 줄에 자연수 N이 주어진다.(1 2022. 10. 27.
[Python/알고리즘] 곳감 문제 현수는 곳감을 만들기 위해 감을 깍아 마당에 말리고 있습니다. 현수의 마당은 N*N 격자판으 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수는 각 격자단위로 말리는 감의 수를 정합니다. 그런데 해의 위치에 따라 특정위치의 감은 잘 마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현수는 격자의 행을 기준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변경해 모든 감이 잘 마르게 합니다. 만약 회전명령 정보가 2 0 3이면 2번째 행을 왼쪽으로 3만큼 아래 그림처럼 회전시키는 명령 입니다. 10 13 10 12 15 12 39 30 23 11 11 25 50 53 15 19 27 29 37 27 19 13 30 13 19 ↓ 10 13 10 12 15 23 11 12 39 30 11 25 50 53 15 19 27 29 37 27 19 13 30 1.. 2022. 10. 27.
[Python/알고리즘] 사과나무 문제 현수의 농장은 N*N 격자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격자안에는 한 그루의 사과나무가 심어저 있다. N의 크기는 항상 홀수이다. 가을이 되어 사과를 수확해야 하는데 현수는 격자판안의 사과를 수확할 때 다이아몬드 모양의 격자판만 수확하고 나머지 격자안의 사과는 새들을 위해서 남겨놓는다. 만약 N이 5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진한 부분의 사과를 수확한다. 10 13 10 12 15 12 39 30 23 11 11 25 50 53 15 19 27 29 37 27 19 13 30 13 19 현수과 수확하는 사과의 총 개수를 출력하세요. 입력 첫 줄에 자연수 N(홀수)이 주어진다. (3 2022. 10. 25.
[Python/알고리즘] 격자판 최대합 문제 5*5 격자판에 아래롸 같이 숫자가 적혀있습니다. 10 13 10 12 15 12 39 30 23 11 11 25 50 53 15 19 27 29 37 27 19 13 30 13 19 N*N의 격자판이 주어지면 각 행의 합, 각 열의 합, 두 대각선의 합 중 가장 큰 합을 출력합 니다. 입력 첫 줄에 자연수 N이 주어진다.(1 m: m = s_c s_lr += li[i][i] s_rl += li[N - i - 1][i] if s_lr > m: m = s_lr if s_rl > m: m = s_rl print(m) 2022.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