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55 [Java] this this 📌 this ① 자기 자신의 메모리를 가리킴. ... // 생성자 public Student(int id, String name, int birth, String phoneNumber) { this.id = id; this.name = name; this.birth = birth; this.phoneNumber = phoneNumber; } ... ② 생성자에서 다른 생성자를 호출함. ... public Student() { // 디폴트 생성자. this(-1, "없음"); } public Student(int id, String name) { // 생성자. this.id = id; this.name = name; } ... ③ 자기 자신의 주소를 반환함. 2022. 10. 13. [Java] 정보 은닉(Information Hiding)과 접근 수준 지시자(Access-level Modifiers) 정보 은닉(Information Hiding) 📌 정보 은닉(Information Hiding) : 인스턴스 변수를 숨기는 것. 접근 수준 지시자(Access-level Modifiers) 📌 접근 수준 지시자(Access-level Modifiers) : 접근 허용 수준을 결정할 때 사용되는 키워드. public, protected, private, default 📌 사용할 수 있는 대상 클래스 public, default 인스턴스 변수와 인스턴스 메소드 public, protected, private, default 📌 접근 수준 지시자의 접근 허용 범위 클래스 내부 동일 패키지 상속 받은 클래스 이외 영역 private O X X X default O O X X protected O O O X pu.. 2022. 10. 13. [Java] 생성자(Constructor)와 디폴트 생성자(Default Constructor) 생성자(Constructor) 📌생성자(Constructor) : 인스턴스(객체) 생성 시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소드. 📌 생성자의 이름은 클래스 이름과 동일해야 함. 📌 생성자는 값을 반환하지 않고, 반환형을 표시하지 않음. 디폴트 생성자(Default Constructor) 📌디폴트 생성자(Default Constructor) :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삽입해주는 생성자. 생성자가 하나도 없을 때만 생성됨. public [클래스명]() { ... } 2022. 10. 13. [Java] 클래스(Class)와 인스턴스, 참조 변수(Reference Variable) 클래스(Class) 📌 클래스(Class) : 데이터(Data) + 메소드(Method) 데이터(Data) : 프로그램 상 유지, 관리해야 하는 데이터. 메소드(Method) : 데이터를 처리, 조작하는 기능. 📌 보통 자바에서는 클래스 이름을 설정할 때, 첫 문자는 대문자로 시작함. 둘 이상의 단어를 사용할 때는 대문자로 구분지어 사용함. 📌 참조 자료형(reference data type) : 클래스 형으로 선언하는 자료형. 예. String 등 인스턴스 📌 인스턴스 : 클래스에 정의죈 변수와 메소드를 담고 있는 것. 만들어지고 실제 메모리 공간에 존재함. == 객체 📌 인스턴스 변수 : 클래스 내에 선언된 변수. == 멤버 변수 == 필드(Fields) 📌 인스턴스 메소드 : 클래스 내에 정의된 메.. 2022. 10. 13. [Java] 메소드와 변수의 스코프(Scope) 메소드 📌 메소드 : 함수의 일종. 클래스 바깥에 작성할 수 없음. 📌 보통 자바에서 메소드 이름을 설정할 때, 첫 문자는 소문자로 시작함. 둘 이상의 단어를 사용할 때는 대문자로 구분지어 사용함. (예. printInfo) 📌 main 메소드 : 자바 프로그램은 main 메소드에서 실행 시작함. public static void로 선언하며, String[] args로 실행 인자를 전달 받음. 💡 main 메소드의 호출은 클래스 외부이므로, public으로 선언함. main 메소드는 인스턴스가 생성되기 전에 호출하므로, static 선언함.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 메소드 형식 - 반환형 : 반환 값의 자료형. 반환 값이 없는 경우, void.. 2022. 10. 13. [Java] break문과 continue문 break문 📌 break문 : 나머지 부분 실행하지 않고, 반복문 탈출. continue문 📌 continue문 : 나머지 부분 실행하지 않고, 조건 검사로 이동. 반복문 탈출 X. break문과 continue문 예시 📌 break문과 continue문 예시 package test;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0; while(num++ < 50) { if(num == 10) { // num이 10이면 while문 탈출. break; } if(num % 2 == 0) { // num이 짝수이면, 아래 부분 실행하지 않고, 조건 검사로 돌아감. continue; } System.out.println(num.. 2022. 10. 13. [Java] 반복문 for문 📌 for문 for( [반복 횟수를 세기 위한 변수] : [조건] : [변수 연산] ) { [실행문] } 📄 Test.java package test;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int i = 0; i < 10; i++) { System.out.println(i); } }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while문 📌 while문 : 조건이 true이면, 중괄호 안의 실행문 실행. while( [조건문] ) { [실행문] } 📄 Test.java package test;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 2022. 10. 13. [Java] 조건문과 조건 연산자 if문 📌 if문 if() { [실행문] } else if( [조건문] ) { [실행문] } else { [실행문] } 조건 연산자 📌 조건 연산자 [조건] ? [true일 경우 반환] : [false일 경우 반환] switch문 📌 switch문 switch( [n] ) { case 1: // n이 1일 때, 아래 실행문 실행. [실행문] case 2: // n이 1일 때, 아래 실행문 실행. [실행문] break; // switch문 밖으로 빠져나감. default: // 해당하는 case가 없을 때, 아래 실행문 실행. [실행문] } 2022. 10. 13.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