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78

[Python] 파일입출력 파일 생성 📌 파일 생성 객체 = open(파일 이름, 모드) f = open("test.txt", "w") f.close() 📌 해당 파일이 없을 경우, 'w' 모드로 열었을 경우, 새로운 파일이 알아서 생김. 'r' 모드로 열었을 경우, 파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오류가 생김. 📌 os.path.isfile( ) : 파일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메서드 True, False로 반환. import os os.path.isfile(파일명) 📌 f.close() : 파일 닫기. 파이썬은 프로그램 종료 시, 자동으로 파일을 닫아줌. 📌 모드 r 읽기. w 쓰기. (기존 내용 사라짐.) a 파일 마지막에 새로운 내용 추가하기. b 바이너리 모드. t 텍스트 모드. 절대 경로 vs 상대 경로 📌 절대 경로 vs .. 2022. 10. 4.
[Python] 생성자와 소멸자 생성자 📌 생성자 : 객체가 생성될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서드. __init__으로 이름을 사용해야 생성자로 인식함. class Test: def __init(self): pass 소멸자 📌 소멸자 : 객체 레퍼런스 카운트가 0이 될 때 호출되는 메서드. __del__으로 이름을 사용해야 소멸자로 인식함. class Test: def __init__(self): print("Test __init__()") def __del__(self): print("Tesst __del__()") t = Test() # Test __init__() # Test __del__() 2022. 10. 4.
[Python/라이브러리] import import 📌 import : 다른 파일의 클래스, 함수, 변수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음. 💡 모듈 vs 패키지 vs 라이브러리 - 모듈(module) : 클래스, 함수, 변수를 모아놓은 파일. - 패키지(package) : 여러 모듈을 모아놓은 폴더. - 라이브러리(library) : 패키지와 모듈을 모아놓은 것. import - import 파일 📌 import 파일 : 파일 모두 가져옴. import test A = test.Calculator() B = test.minus() C = test.a # test.py ------------------------------------------------------------------------------------- class Calculator:.. 2022. 9. 27.
[Python] dict dict 📌 dict : 자료끼리 관계를 지어줄 때 사용하는 자료형. {key : value} 📌 특징 ① 순서가 없음. ② key indexing 가능. → key로 value 접근. 이미 존재하는 값이 없을 경우, key indexing으로 값 추가 가능. 이미 존재하는 값이 있을 경우, key indexing으로 값 변경 가능. ③ del로 삭제 가능. ④ in으로 dictionary에 key값이 존재하는지 확인 가능. d = {1:"one", 2:"two"} print(d) # {1: 'one', 2: 'two'} d[3] = "삼" # key indexing으로 값 추가 가능. print(d) # {1: 'one', 2: 'two', 3: '삼'} d[1] = "일" # key indexing으.. 2022. 9. 27.
[Python] set set 📌 set : 집합 자료형. { } 중괄호를 사용해 표현. 주의) s = { } → s는 dictionary를 의미. 빈 set을 나타낼 경우, s = set( )이라고 써야 함. 📌 특징 ① 순서가 없음. → index, indexing, slicing 불가. ② 중복 허용 X. ③ 집합 연산에 용이. 📌 메서드 .add() 추가. .remove() 삭제 a = {1, 2, 3, 4, 5} print(a) # {1, 2, 3, 4, 5} a.add(6) a.add(6) a.add(6) print(a) # {1, 2, 3, 4, 5, 6} a.remove(2) print(a) # {1, 3, 4, 5, 6} 📌 연산자 & 교집합 | 합집합 - 차집합 a = {1, 2, 3, 4, 5} b = {2.. 2022. 9. 27.
[Python] class class 📌 class : 객체 생성을 위해 존재. 예시) 붕어빵 틀 = 클래스(class) 붕어빵 = 객체(object) 📌 클래스(class)로 만든 객체(object)는 객체마다 고유한 성격을 가지지만, 서로에게 영향을 주진 않음. 📌 용어 ① 객체(object) : 클래스(class)로 만든 것. ② 인스턴스(instance) : 클래스(class)로 만든 객체. ③ 필드(field) : 클래스(class) 내부에 선언된 변수. ④ 메서드(method) : 클래스(class) 내부에 구현된 함수. → 팥붕은 객체(object). 팥붕은 붕어빵틀 클래스(class)의 인스턴스(instance). (팥붕은 인스턴스(instance), 붕어빵틀 클래스(class)의 객체(object) ← 잘못된 표현.. 2022. 9. 26.
[Python] 함수 함수 📌 함수 : 매개변수(입력한 값)를 가지고 반환값(결과)을 내는 것. 📌 함수 사용 이유 ① 반복되는 코드 정리. : 반복되는 코드를 함수로 묶어 코드를 정리할 수 있음. ② 보기 쉽게 정리 가능. : 코드를 함수화하면 보기 편리해지면서 프로그램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 def [함수명] (매개변수): [기능 구현] return [반환값] 📌 용어 ① 매개변수(parameter) :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아래에서 x, y를 의미) ② 인수(arguments) :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아래에서 2, 5를 의미) def add(x, y): num = x + y return num print(add(2, 5)) # 7 함수 - 매개변수가 없는 함수 📌 매개변수가 .. 2022. 9. 26.
[Python] 문자열 대소 비교 | 유니코드 문자열 대소 비교 📌 문자열 대소 비교 : 문자열의 대소 비교는 '유니코드'로 한다. 📌 문자와 유니코드 변환 ord(문자) : 문자를 유니코드로 변환 chr(숫자) : 숫자를 문자로 변환. print(ord("a"))# 97 print(chr(97)) # a print(ord("A")) # 65 print(chr(65)) # A 2022.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