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Python36

[Python] 문자열 | 문자열 index | 슬라이싱 문자열 📌 문자열에는 순서가 있음. 즉, index, indexing이라는 개념이 있음. s = "hello world" for i in range(0, len(s)): print(s[i]) # h # e # l # l # o # w # o # r # l # d 문자열 index 📌 문자열은 음수 인덱스 사용 가능. 📌 음수 인덱스 : 음수로 되어있는 인덱스를 말하며, 마지막 인덱스가 -1로 시작함. s = "Hello" for i in range(0, len(s)): print(f"s[{i}] : {s[i]}") print() for i in range(-1, -(len(s)) - 1, -1): print(f"s[{i}] : {s[i]}") # s[0] : H # s[1] : e # s[2] : l #.. 2022. 9. 22.
[Python] 슬라이싱 슬라이싱 📌 슬라이싱 : 자료를 나눌 수 있는 것. 인덱스가 있는 자료형 모두 슬라이싱 가능. 📌 자료 [start : stop : step] : start 부터 (stop - 1)까지. 📌 start, stop, step 모두 생략 가능. s = '19951004' s[:4]# start 생략(default: 0) 1995 s[4:6]# step 생략(default: 1) 10 s[6:]# stop 생략(default: 마지막) 04 li = ["a", "b", "c", "d", "e"] print(li[:3]) # start 생략(default: 0) ['a', 'b', 'c'] print(li[2:4]) # step 생략(default: 1) ['c', 'd'] print(li[3:]) # stop.. 2022. 9. 22.
[Python] index와 indexing Indexing(인덱싱) 📌 Indexing(인덱싱) : index(인덱스)를 활용해 자료에 접근하는 것을 말함. 예) list[index], tuple[index] Index(인덱스) 📌 Index(인덱스) : 자료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 0부터 시작. 💡 index(인덱스)가 0부터 시작하는 이유 : 최소한의 비트를 사용해서 많은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서 0부터 시작함. 컴퓨터는 0과 1을 사용해 정보를 나타냄. 0으로 시작할 경우 0과 1로 시작하지만, 1로 시작할 경우에는 01과 10으로 시작하게 됨. 음수 Index 📌 음수 Index : 음수로 되어있는 index(인덱스). 마지막 인덱스가 -1로 시작. 예. a = [1, 2, 3] a[0] == a[-3] a[1] == a[-2] a[2] =.. 2022. 9. 22.
[Python] 반복문(while문) while문 📌 while문 : 조건이 True일 동안 계속 반복 실행. 💡 무한 루프에 빠질 수 있으므로 꼭 탈출할 수 있는 조건을 적어줘야 함. while (조건): (실행문) for문 vs while문 📌 for문 vs while문 for문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 주로 사용. while문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 주로 사용. while문 - 예시 ❓ 0입력 전까지 n을 입력받고 구구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hile True: n = int(input("n 입력(종료:0): ")) if n == 0: print("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break elif n > 0: for i in range(1, 10): print(f"{n} x {i} = {n * i}") pr.. 2022. 9. 20.
[Python] 문자열 포맷팅 문자열 포맷팅 - % 📌 문자열 포맷팅 - % : print("%(자료형)" % (변수)) - 자료형 %d : 정수 %f : 실수 %s : 문자열 for i in range(2, 10): for j in range(1, 10): print("%d x %d = %d"%(i, j, i * j)) print() 문자열 포맷팅 - .format() 📌 문자열 포맷팅 - .format( ) : print("{ }".format(변수)) for i in range(2, 10): for j in range(1, 10): print("{} x {} = {}".format(i, j, i * j)) print() 문자열 포맷팅 - fstring 📌 문자열 포맷팅 - fstring : print(f"{변수}") for i .. 2022. 9. 20.
[Python] break | continue break문 📌 break문 : 반복문에서 빠져나올 때 사용하는 구문. 📌 주의점 ① 반복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② 중첩된 반복문이 있을 때, 가장 가까운 반복문 하나만 빠져나온다. for i in range(1, 5): for j in range(1, 5): if j == 3: break print(i, j) print() # 1 1 # 1 2 # 2 1 # 2 2 # 3 1 # 3 2 # 4 1 # 4 2 💡 for문의 else : for문에도 if문 처럼 else가 존재한다. for문의 else는 반복문이 완벽하게 실행된 경우. 즉, break문이 실행하지 않은 경우에만 else가 실행된다. for i in range(1, 5): for j in range(1, 5): if j == 10: br.. 2022. 9. 19.
[Python] 복합 연산자 복합 연산자 📌 복합 연산자 a += b a = a + b a -= b a = a - b a *= b a = a * b a /= b a = a / b a // = b a = a // b a %= b a = a % b a **= b a = a ** b 2022. 9. 14.
[Python] 반복문(for문, 중첩) | range 함수 반복문(for문) 📌 반복문 - for문 : '변수'를 사용해 '자료'를 반복해 돌면서 '실행문'을 실행함. for (변수) in (자료): (실행문) range 함수 📌 range 함수 : 반복문을 사용할 때 사용. 'start'부터 'stop'전까지 'step'만큼 증감하여 반복. start와 step은 생략 가능. 예) range(100) : 0 - 99 range(1, 50) : 1 - 49 range(1, 15, 3) : 1, 4, 7, 10, 13 반복문(for문) - 예시 ❓ n을 입력받아 n의 Factorial을 출력하는 Factorial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n! = n * (n -1) * (n - 2) * ... * 1 n = int(input("n 입력: ")) f = 1 for i.. 2022.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