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Python36

[Python] list와 tuple list vs tuple 📌 list, tuple : 여러 자료들을 담을 수 있는 자료형. 표기법 순서 자료변경 list [ ] O O tuple ( ) O X 💡 tuple 표시할 때 주의할 점 tu = (1) print(type(tu)) # tu = ("abcd") print(type(tu)) # tu = (1,) print(type(tu)) # list indexing, index 📌 list는 인덱싱이 가능함. li = [1, 2, 3, 4, 5] for i in range(0, len(li)): print(f"li[{i}] : {li[i]}") print() for i in range(-1, -(len(li)) - 1, -1): print(f"li[{i}] : {li[i]}") # li[0] :.. 2022. 9. 14.
[Python] 조건문(if문) 조건문 - if 📌 조건문 - if문 :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만 실행문이 실행됨. if (조건): (실행문) 조건문 - if, elif, else 📌 조건문 - if, elif, else문 : 조건1을 만족할 경우, 실행문1이 실행됨. 조건1을 만족하지 않고 조건2를 만족할 경우, 실행문2가 실행됨. 조건1과 조건2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실행문3이 실행됨. if (조건1): (실행문1) elif (조건2): (실행문2) else: (실행문3) if, elif, else와 if의 차이점 📌 if, elif, else와 if의 차이점 ① 실행 동작의 차이 어느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실행 과정이 달라짐. ② else else를 사용함으로 예외 상황을 처리할 수 있음. 💡 pass : 문장 전체 구조를 잡을.. 2022. 9. 13.
[Python] input 함수 | 형변환 input 함수 📌 input 함수 : 입력받은 값을 반환하는 함수. 반환형 : 문자열. print(type(input("입력:"))) # 입력:hello # 형변환 📌 형변환 : 자료형을 바꾸는 것. 바꾸고 싶은 자료형(바꿀 자료). 💡 input()할 때 형변환을 통해 자료형을 바꿔 값을 저장할 수 있음. num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 print(num) 2022. 9. 7.
[Python] 연산자 연산자 - 숫자 자료형 📌 숫자 자료형 연산자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실수) // 몫 % 나머지 ** 제곱 a = 20 b = 3 print(a + b) # 더하기 23 print(a - b) # 빼기 17 print(a * b) # 곱하기 60 print(a / b) # 나누기 6.666666666666667 print(a // b) # 몫 6 print(a % b) # 나머지 2 print(a ** b) # 제곱 8000 연산자 - 문자열 📌 문자열 연산자 + 문자열 병합 * 문자열 반복 a = "hello" b = "world" print(a + b) print(a * 3) # helloworld # hellohellohello 연산자 - 비교연산자 📌 비교 연산자 a > 0 a가.. 2022. 9. 6.
[Python] 변수 변수 📌 변수 : 값을 대표하는 이름을 설정해 사용하는 것을 말함. 값은 변할 수 있음. 📌 변수명 설정 규칙 ① 문자, 숫자, 밑줄(_)로 구성. ② 숫자는 가장 앞에 나올 수 없음. ③ 공백 사용 불가. ④ 대소문자 구분. ⑤ 예약어 사용 불가. name = "jin" print(name) a_g_e = 23 print(a_g_e) _email123 = "jin@xxx.com" print(_email123) # jin # 23 # jin@xxx.com 📌 대입연산자 대입연산자(=)를 사용해 값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때 값의 특성도 변경됨. 💡 type() 함수 : 함수 안에 들어있는 값의 자료형을 반환하는 함수. age = 23 print(type(age)) age = 23.5 print(type(.. 2022. 9. 6.
[Python] 주석 주석(#) 📌 주석 : 코드 실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보통 코드 설명을 할 때 사용됨. 단축키 : ctrl + / print("hello world")# hello world 출력 💡 여러 줄 주석 여러 줄을 주석 처리할 때 ''' '''이나 """ """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걸 주석이라고 할 수는 없음. ''' '''와 """ """은 주석이 아닌 문자열. 2022. 9. 6.
[Python] print 함수 print 함수 📌 print 함수 : 출력할 때 사용되는 함수. print("hello world")# hello world print(1234567890)# 1234567890 📌 옵션 아래는 print() 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필요에 따라 옵션을 바꿔 사용할 수 있음. sep : 문자열과 문자열 사이의 공간. end : 문자열 끝. (function) print(*values: object, sep: str | None = ..., end: str | None = ..., file: SupportsWrite[str] | None = ..., flush: Literal[False] = ...) -> None print(*values: object, sep: str | None = ..., end: .. 2022. 9. 6.
[Python] Python 자료형 Python 자료형 - 숫자 📌 숫자 자료형 int : 정수(10진수). float : 실수. j : 복소수. print(10)# 10 print(3.14)# 3.14 print(4-2j)# (4-2j) 📌 진수 0b : 2진수. 0o : 8진수. 0x : 16진수. print(10) # 10 print(0b10)# 2 print(0o10)# 8 print(0x10)# 16 💡 print(0123) : SyntaxError: leading zeros in decimal integer literals are not permitted; use an 0o prefix for octal integers → 0으로 시작하는 표현은 진법 표현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함. 📌 10진수를 x진수로 변경(문자열.. 2022. 9. 6.